• 로그인
Thoughts, stories and ideas.
편집실

편집실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4] 복잡해진 이스라엘과 중동국가 관계 “아브라함 협정”체제의 미래는?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4] 복잡해진 이스라엘과 중동국가 관계 “아브라함 협정”체제의 미래는?

2023년 1월의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넥스트브릿지 World Brief>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3]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푸틴의 전쟁), 국제사회에 어떤 불안을 야기할까?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3]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푸틴의 전쟁), 국제사회에 어떤 불안을 야기할까?

2023년 1월의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넥스트브릿지 World Brief>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2]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희비가 엇갈리는 2023년 전망 ②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2]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희비가 엇갈리는 2023년 전망 ②

2023년 1월의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넥스트브릿지 World Brief>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1]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희비가 엇갈리는 2023년 전망 ①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7-1]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희비가 엇갈리는 2023년 전망 ①

2023년 1월의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넥스트브릿지 World Brief>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3] 강화하는 인도의 힌두 우파 민족주의 (India is continuing on its path to majoritarian chauvinism)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3] 강화하는 인도의 힌두 우파 민족주의 (India is continuing on its path to majoritarian chauvinism)

2023년 1월의 <해외언론 읽기>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8호&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2] 대만이 아시아의 우크라이나가 될까? (Will Taiwan be the Ukraine of Asia?)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2] 대만이 아시아의 우크라이나가 될까? (Will Taiwan be the Ukraine of Asia?)

2023년 1월의 <해외언론 읽기>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8호&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1] 중국의 파워는 이미 정점에 올랐을까? (Has China reached the peak of its powers?)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6-1] 중국의 파워는 이미 정점에 올랐을까? (Has China reached the peak of its powers?)

2023년 1월의 <해외언론 읽기>는 <이코노미스트>의 2023년 전망 기사를 소개할 것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6호>에서는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인도들에 대한 전망 기사를 다룹니다. <해외언론 읽기_7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전망과 중동 정세 전망을 다룹니다. 공통분모는 미국입니다. <해외언론 읽기_8호&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56화] 윤석열 정부, 바로 여기를 노리고 있다

[56화] 윤석열 정부, 바로 여기를 노리고 있다

윤석열 정부, 바로 여기를 노리고 있다친재벌 정책은 있어도 노동개혁은 없다... 우리가 해야 할 일 By 박영기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 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전문가의 네트워크이다. 넥스트 브릿지는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현장기반지식으로 사회적 변화의 길을 찾는, 양승훈 교수

현장기반지식으로 사회적 변화의 길을 찾는, 양승훈 교수

양승훈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인터뷰 및 정리-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넥스트브릿지에서는 회원들 각자의 생활과 관심연구 및 활동분야 등에 대한 스토리 공유로 지지와 헙업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회원동정 코너인 ‘잇는 사람’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준비2호에는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1월 시작하는 넥스트클래스의 첫 강연을 선뜻 허락해주신 양승훈 교수와의 인터뷰을 싣습니다. 대면 인터뷰의 어려움으로

by편집실
잇는 사람
미국 IRA법, 현대에겐 재앙, 토요타에겐 기회?

미국 IRA법, 현대에겐 재앙, 토요타에겐 기회?

[팩트와 관점 창간준비3호] 미국 IRA법, 현대에겐 재앙, 토요타에겐 기회?: 미국의 IRA 대응에서 발빠른 일본과 뒷북치는 한국, 외교도 경제임을 깊이 인식해야 by 「팩트와 관점」 편집부 미국 IRA의 최대 피해자는 한국 자동차업계, 특히 현대기아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행 IRA대로라면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에 거액의 투자를 하면서도 미국 정부의 정책에 손해를 입는 상황이 된다. 한국의

by편집실
팩트와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