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Thoughts, stories and ideas.
[122화]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

[122화]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적대적 분단체제 끝내야... '남태령 시민 연대의 힘'에서 희망을 보았다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21화]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

[121화]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대통령의 국가원수 지위와 권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20화]'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

[120화]'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

'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대통령에 대한 민주적 통제, 국회의 권한강화 필요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주권자인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9화]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

[119화]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상상도 못 한 대통령의 내란... 불안정·불확실한 계엄법 개정 필요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8화] 인적·제도적 개선으로 국가교육위 역할 달성해야

[118화] 인적·제도적 개선으로 국가교육위 역할 달성해야

인적·제도적 개선으로 국가교육위 역할 달성해야국가교육위원회 역할 제고를 위한 제언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주권자인 국민이 사회 지향과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7화] '부자감세안' 믿는 구석이 있다...12월 2일 기다리는 윤 정부

[117화] '부자감세안' 믿는 구석이 있다...12월 2일 기다리는 윤 정부

'부자감세안' 믿는 구석이 있다...12월 2일 기다리는 윤 정부예산안 자동부의제도 허점... 기울어진 예산 심사 절차 바로잡아야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6화] 윤 정부 이후 대한민국 30년... '기본임금' 이 온다

[116화] 윤 정부 이후 대한민국 30년... '기본임금' 이 온다

윤 정부 이후 대한민국 30년... '기본임금' 이 온다양극화·불평등 해소 위해 '기본임금'과 '노동안전 기본사회' 로 나아가야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5화] 의료대란 상황, '대통령 직속 기관'인 이곳은 손 놓고 있다

[115화] 의료대란 상황, '대통령 직속 기관'인 이곳은 손 놓고 있다

의료대란 상황, '대통령 직속 기관'인 이곳은 손 놓고 있다거수기 역할? 국가교육위원회의 역할 제고할 때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4화] 국회는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 제정 정신 되살려야

[114화] 국회는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 제정 정신 되살려야

국회는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 제정 정신 되살려야도급제 노동자 보호 위한 노동법의 법고창신(法古創新)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주권자인 국민이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22화]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

[122화]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

심상치 않았던 '흡수통일론'... 윤석열은 북한을 어떻게 이용했나적대적 분단체제 끝내야... '남태령 시민 연대의 힘'에서 희망을 보았다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21화]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

[121화]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

'제왕적 대통령제' 바닥 보여준 윤석열 내란, 권한 확 줄여야대통령의 국가원수 지위와 권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20화]'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

[120화]'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

'계엄 난동' 윤석열, 대통령 권한 축소 시급하다대통령에 대한 민주적 통제, 국회의 권한강화 필요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네트워크다. 넥스트 브릿지는 주권자인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119화]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

[119화]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

혹시나 하는 경우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첫 케이스였다상상도 못 한 대통령의 내란... 불안정·불확실한 계엄법 개정 필요 정책네트워크 넥스트 브릿지(Next Bridge)는 지식경제, 기후, 디지털,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등 전환의 시대를 직면하여 비전과 정책과제를 연구하는 포스트 386 세대(9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에서 90년대생 청년) 중심의 연구자·정책 전문가의 공공정책

by편집실
넥스트브릿지칼럼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1] 바이든의 아시아 동맹 정책의 변화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1] 바이든의 아시아 동맹 정책의 변화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1  PDF파일로 받아보기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왼쪽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이 지난 8월23일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손을 잡고 있다. (ⓒ15th BRICS SUMMIT 공식 Flickr)How Joe Biden is transforming America’s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0] 중국의 버블 붕괴는 없을 것이다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0] 중국의 버블 붕괴는 없을 것이다

▲중국 광시성 광룽 S&T 첨단산업단지의 모습 (ⓒUnsplash)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20  PDF파일로 받아보기 Explainer: Why won’t China become the next Japan?Explainer: Why won’t China become the next Japan?-※POINT World Brief 20호는 서방의 중국경제위기설에 대한 중국의 반박을 소개한다. 중국에 대해서도 보다 객관적인 이해와 판단을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9] 중국 경제를 보는 6가지 측면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9] 중국 경제를 보는 6가지 측면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9  PDF파일로 받아보기 Six things to watch in China’s economyHome / Business / Macro于小明※POINT World Brief 19호부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최근 동향 분석을 소개하려고 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과 중국의 대외전략 변화를 읽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소개하는 것이 더 급하다는 판단으로 순서를 바꿔, 중국 상황을 이해하는 데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8] 미국의 저강도 접근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8] 미국의 저강도 접근

송현석의 해외언론 읽기_18  PDF파일로 받아보기 The Myth of NeutralityCountries will have to choose between America and China.Foreign Affairs MagazineRichard FontaineWorld Brief 18호에서는 17호에 소개하려다 미뤘던 “The Myth of Neutrality”를 소개한다. “The Myth of Neutrality” 역시 17호에서 소개했던 “The Illusion of Great-Power Competition”와 마찬가지로 미국 대외전략의 변화를

by편집실
해외언론읽기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사관’ 무엇이 문제인가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사관’ 무엇이 문제인가

‘홍범도 흉상 논란’을 만들어낸 세계관, 정밀한 해부와 비판이 필요하다 [팩트와 관점 창간준비 8호] by. 「팩트와 관점」 편집부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의 이면에는 윤석열 정부의 세계관이 있다. 이를 우리는 ‘뉴라이트 역사관’이라 추측한다. 다만 특정 독립운동가에 대한 폄훼가 아니라 독립운동의 역할에 대한 폄훼가 있을 거라 추정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by편집실
팩트와 관점
대학 수능 ‘킬러 문항’과 ‘사교육 카르텔’ 비판 문제에 관한 Q&A

대학 수능 ‘킬러 문항’과 ‘사교육 카르텔’ 비판 문제에 관한 Q&A

[팩트와 관점 창간준비 7호] by. 「팩트와 관점」 편집부 윤석열 대통령의 ‘공정 수능’ 발언 이후, 교육부는 ‘킬러 문항’을 배제하는 수능 시험과 ‘사교육 카르텔’의 문제를 교육개혁의 방향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수능을 150여일 남기고 교육부 대입담당 국장을 경질하고,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사임하는 등 수능 수험생들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by편집실
팩트와 관점
민주당은 ‘대의원제’를 폐지말고, 권리당원으로 하여금 선출하게 하라

민주당은 ‘대의원제’를 폐지말고, 권리당원으로 하여금 선출하게 하라

[팩트와 관점 창간준비 6호] by. 「팩트와 관점」 편집부 한국의 정당 정치는 지난 이십여년 간의 제도개혁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하고 허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거대 양당 모두 지난 십수년 동안 빈번하게 비대위 체제에 돌입했고, 높은 초선 의원 교체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해외 정당정치의 경향과는 달리 당원은 폭증하고 있지만 그렇게 유입된

by편집실
팩트와 관점
워싱턴 선언에 담긴 것과 담기지 못한 것

워싱턴 선언에 담긴 것과 담기지 못한 것

[팩트와 관점 창간준비 5호] 워싱턴 선언에 담긴 것과 담기지 못한 것:  민주당은 ‘새로운 평화 노선’을 제시해야 한다 by. 「팩트와 관점」 편집부 ‘워싱턴 선언’을 통해 미국은 대한민국에게 미중 대결 구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미국 편을 들 것을 요구하면서도, 대북정책에 대해선 ‘한반도 비핵화’와 ‘대화’ 노선을 주문했다. 윤석열 정부와 보수언론이 원했던

by편집실
팩트와 관점
(박록삼 기자) 미디어 대전환기, '언론의 자유'·'기자의 책임' 모두 놓치지 말아야죠!

(박록삼 기자) 미디어 대전환기, '언론의 자유'·'기자의 책임' 모두 놓치지 말아야죠!

박록삼 기자(한국기자협회 부회장) / 인터뷰 : 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 넥스트브릿지의 회원 동정 코너인 ‘잇는 사람’은 회원들 각자의 생활과 연구,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면서 지지와 협업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이번 준비 8호에는 박록삼 전 <서울신문> 논설위원과 나눈 인터뷰를 싣습니다. 박록삼 전 위원은 지난 5월 23일 25년 동안 근무했던 <

by편집실
잇는 사람
'통합의학'을 목표로 '현대한의학'의 길을 걷는, 황만기 박사(서초아이누리한의원 대표원장)

'통합의학'을 목표로 '현대한의학'의 길을 걷는, 황만기 박사(서초아이누리한의원 대표원장)

황만기박사(서초아이누리 대표원장) / 인터뷰 : 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넥스트브릿지의 회원 동정 코너인 ‘잇는 사람’은 회원들 각자의 생활과 연구,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면서 지지와 협업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이번 준비 7호에는 서초 아이누리 한의원 대표원장이신 황만기 박사님과의 인터뷰를 싣습니다. 2020년 3월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겸임교수도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황만기 원장님의

by편집실
잇는 사람
통합을 위한 소통, 역량을 키워주는 정치의 길을 찾는, 새로운소통연구소 하헌기 소장

통합을 위한 소통, 역량을 키워주는 정치의 길을 찾는, 새로운소통연구소 하헌기 소장

하헌기 새로운소통연구소장 / 인터뷰 및 정리 - 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하헌기 새로운소통연구소장(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아마도 넥스트브릿지 회원 중에서도 가장 젊은 축에 들 것이다. 1988년생으로 올해 서른 다섯이 된다. 그는 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과 함께 《추월의 시대》를 쓴 공저자 중 1인이기도 하다. TV방송과 유튜브방송을 가리지 않고 출연하면서 여러 정치활동을 하는 그에게

by편집실
잇는 사람
활동가로서의 삶이 행복한, 사람중심 행정·도시 연구자 최유진 교수

활동가로서의 삶이 행복한, 사람중심 행정·도시 연구자 최유진 교수

최유진 강남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 인터뷰 및 정리-한윤형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강남대학교 공공인재학과 최유진 교수님은 지난 2월 9일 넥스트클래스 오픈강좌 3강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모두의 부동산 - 약탈되는 공유지, 시민의 힘으로 회복하기>을 진행한 바 있다. 주류경제학은 흔히 ‘공유지의 비극’이라 불리는, 누구의 소유도 아닌 공유지는 아무도 아끼지 않아서 황폐해지게

by편집실
잇는 사람
현금공약, 로드맵이 필요하다

현금공약, 로드맵이 필요하다

대선공약 언박싱, 어떤 미래를 선택하시겠습니까-민주당편③ by 구재이 한국납세자권리연구소장·세무사 (왼쪽부터)정세균, 이낙연, 추미애, 김두관, 이재명,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8월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YTN에서 열린 대선 후보자 토론회를 앞두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20대 대선을 위한 여야의 경선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대선후보들의 공약이 공개되고 있다. 촛불혁명으로 치러진 19대 대선에서 어젠다였던

by편집실
미디어plus
‘양만큼 질’ 따진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새로운 해법

‘양만큼 질’ 따진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새로운 해법

대선공약 언박싱, 어떤 미래를 선택하시겠습니까-민주당편② by 구본기 (구본기생활경제연구소 소장), 김성천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송현석 (민생경제연구소 공동소장), 최승복 (서울특별시교육청 기획조정실장) 노후 학교 활용한 마을공공주택···사교육 필요 없는 ‘교육복지’ 제공 중요지난 8월 15일, 서울 노원구의 한 부동산에 전월세·매매·매물 안내문이 가득 붙어 있다. 김기남 기자 현재 한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교육과 자산

by편집실
미디어plus
기본소득 실효성 높인 범주형 기본소득을 제안한다

기본소득 실효성 높인 범주형 기본소득을 제안한다

대선공약 언박싱, 어떤 미래를 선택하시겠습니까? 민주당편 ① Photo by Element5 Digital / Unsplash2022년 대선은 포스트 팬데믹과 세계경제구조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위한 정책과 비전선거여야 합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잠룡들의 대표 공약을 분석하고 관련한 논쟁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며 더 좋은 정책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정책과 비전에 대한 사회적 토론을 촉발하기를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지식주도경제와 4차

by편집실
미디어plus
시대와 세대를 잇는 대안정책네트워크